배움 저장소
드림에이스 Drimaes라고? 스펠링이 많이 틀렸네. 시리즈A를 받은 기술 스타트업 본문
대구 지역에서 채용공고를 올린 기업을 뒤져보다가 드림에이스(Drimaes)를 발견했습니다.
유튜브에서 한창 인기있었던 좋소좋소를 본 이후라 대기업보다 규모가 작은 기업에 대한 두려움이 마냥 커져가고 있었는데요. 드림에이스는 어떤 기업일까요? 찾아보았습니다.
1. 시리즈 A 투자유치를 이끌어낸 기업?
드림에이스는 시리즈 A(125억)를 투자 받았습니다. 보통 스타트업은 투자를 받기 위하여 투자자에게 많은 정보를 넘겨줍니다. 재무재표와 비지니스모델과 비전. 투자자는 스타트업의 재무상황, 사업모델을 평가하여 미래가치를 보고 투자합니다. 투자자가 돈이 남아돌아서 돈을 빌려줄까요? 아마 자기 돈이 모두 날라갈 위험을 안을 만큼 Drimaes의 무언가를 보았기 때문에 돈을 빌려주었을 것 같습니다!
드림에이스는 2020년 네이버, 콘티넨탈오토모티브와 함께 MOU를 맺었습니다. 이 협약에 따라 드림에이스는 IVI에서 사용되는 플랫폼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때 IVI란 In-Vehicle Infotainment의 줄임말입니다. GPS 네비게이션, 음성 명령 인식 소프트웨어, 어플 다운로드가 가능한 환경입니다. 차 안에 들어있는 스마트폰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죠?
네이버 웨일, 콘티넨탈-드림에이스와 함께 웹 기반 IVI 서비스 활성화 협력 - 글로벌경제신문
네이버(대표 한성숙)가 제공하는 웨일 브라우저가 IVI 솔루션 전문기업 드림에이스(대표 임진우, 김국태), 세계적인 기술기업 콘티넨탈오토모티브코리아(대표 오희근)와 웹 기반의 IVI(In-Vehicle Inf
www.getnews.co.kr
이 뿐만 아니라 2021년 애플 휴대폰의 생산자인 폭스콘이 드림에이스를 주요 파트너로 선정했습니다! 덩치가 작은 스타트업이 글로벌 기업의 주요파트너로 선정되었다니, 국책사업에만 의존하여 살아가는 좀비기업은 아닐 거 같습니다!
드림에이스, 폭스콘 MIH의 주요 파트너사로 선정 - Businesskorea
[비지니스코리아=김은진 기자]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In-Vehicle Infotainment) 솔루션 전문기업 드림에이스(대표 임진우, 김국태)는 4일 폭스콘(Foxconn)의 공개형 전기차 생산 지원 플랫폼인 MIH의 주
www.businesskorea.co.kr
2. IVI시장은 얼마나 커질까?
그렇다면 차량 내부에 들어가는 프로그램 시장의 규모는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얼마나 성장할 수 있을까요?
과거 차량을 제조하는 회사 대부분은 자사의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디지털 세계가 열림에 따라 차량 내부에 들어가는 프로그램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전통적인 제조업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점점 더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안고가야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거대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은 자신의 소프트웨어를 감당할 수도 있지만 아닌 경우도 있겠죠? IVI의 시장이 얼마나 커져갈지를 예측하는 표를 가져왔습니다! CAGR은 연평균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여러 자료 어디를 찾아봐도 IVI시장 규모가 줄어든다는 자료는 없습니다. 소프트웨어 플랫폼시장은 승자 독식적이고, 상위 몇 기업이 모두 나누어 가지는 형태라고 봐도 되겠죠? 이렇게 늘어나는 시장규모를 보니 군침이 싹 도는군요!
회사가 잘 나가도 시장자체가 죽어나서 기술을 잘 써먹을 곳이 마땅하지 않다면 너무너무 난감하지 않을까요? 여기서는 그럴 일은 없을 것같은데 그래도 세상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기도합시다. CD시장도 USB가 나타나기 전엔 장밋빛이었으니까요.
3. 드림에이스의 개발문화는?
개발자에게 개발문화는 얼마나 중요할까요? 채용관련 커뮤니티나 대기업 취업썰을 들어보면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에서 네카라쿠배로 이직하는 개발자가 있다는 건데요.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에서 네카라쿠배로 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는 개발문화라고 들었습니다. 제조업은 생산라인 한 점이 멈추면 다른 생산라인에서 아무리 열심히 일을 해도 생산이 중단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조업은 제일 일 못하는? 혹은 비효율적인 부분을 기준으로 하향평준화된다고 하는데요. 이런 상황이 좋은 개발문화를 만드는데 방해가 되는게 아닐까요?
사실 개발문화가 중요한지 사례를 찾기 이전에 개발문화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했습니다. 개발문화는 무엇일까요? 어떤 개발문화가 좋은 개발문화일까요? 제 수준으로 좋은 개발문화가 뭐라고 정의하기는 너무 어려우니 아주 무식한 방법으로 개발문화가 좋은지 아닌지를 테스트 하겠습니다.
- 무식하게 가정하기 : 기술블로그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좋은 개발문화를 가지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삼성을 기준으로 봅시다. 삼성은 좋은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을까요? 삼성은 기술 블로그를 가지고 있을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삼성은 다양한 웹페이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정보전달 성격이 강하고 개발관련 사이트에는 코딩문제 풀이만 있습니다. 현업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따로 공유하거나 새로 나온 기술을 공부하는 블로그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그럼 다른 제조업체 LG는 기술 블로그를 가지고 있을까요? 정답은 있는데 없습니다!
LGCNS, AI지니어스 같은 블로그를 찾을 수 있었으나 제품홍보나 정보전달 성격이 강합니다.
또 다른 제조업체 애플은 어떨까요? 왠지 기술블로그가 없을것같은데 삼성과 엘지를 따라갈까요? 정답은 애매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기술블로그는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리뷰하거나, 현업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블로그입니다. 애플은 자사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을 설명합니다. 자기네들만 쓰는 걸 들고와서 가르쳐주는데 이걸 어떻게 분류해야할지 기준을 못 잡겠네요.
Improve Object Detection models in Create ML - Tech Talks - Videos - Apple Developer
When you train custom Core ML models for object detection in Create ML, you can bring image understanding to your app. Discover how...
developer.apple.com
구글, 마소, 인스타그램,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민 모두 기술블로그를 가지고 있습니다. 쿠팡과 네이버 D2블로그의 경우 최근에 포스팅되는 글이 적은 걸 보니 또 신기하기도 합니다. 기술블로그도 트렌드가 있는 걸까요?
개발 실력을 위한 IT기업 기술 블로그 45곳 모음
2020.08 업데이트 | 최근 국비교육, 부트캠프 등의 교육을 수강하고 개발자로 커리어를 전환하신 비전공자분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이 더욱 빠르게 발전하며, 개발 직군은 지속적인 학습
brunch.co.kr
자 아무튼 이제 드림에이스 차례입니다. 드림에이스는 기술블로그를 가지고 있느냐? 아쉽게도 그렇지 않습니다! 블로그에 Tech 목록이 따로 있으나 개발에 과정이나 개발을 위한 정보 공유 보다 상품 홍보, 브랜드 홍보 목적이 강한거 같습니다. 그럼 드림에이스의 개발문화는 삼성, 엘지와 동급으로 보면 되는걸까요? 다른 것도 살펴보았습니다!
드림에이스 (DRIMAES) 공식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Mobility Embedded를 매개로 모든 움직임(Mobility)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혁신적인 차량용 플랫폼 HW와 SW을 제공합니다. 나아가 새로운 경험을 넘어 새로운 가치가 되어줄 매력적인 UI/UX를 디자인 합니
blog.naver.com
4. 드림에이스는 좋은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Youtube채널 The Linux foundation에서 드림에이스를 발견했습니다! 이것을 보고 드림에이스가 좋은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을 거라고 의심해보고 있습니다! 외부행사,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하려면 팀원의 배려가 없다면 불가능합니다. 발표준비를 하고 참여하여 여러 사람과 교류해야하는 컨퍼런스, 좋은 개발문화가 있어야만 참여 가능하지 않을까요?
두 번째로 개발팀인 Impact Center의 센터장님의 인터뷰를 발견하였습니다! 센터장님은 좋은 생태계를 만들기 위하여 직원을 뽑아서 실력있게 키우려고 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 무엇보다 경쟁이 아닌 협동으로 성장하자고 이야기하시는 센터장님의 인터뷰가 인상적인데요.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고 친다면 이 인터뷰 하나로도 이 조직의 개발문화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DRIM Interview]Impact Center 센터장 테스가 말하는 '원팀(One Team)'
🎙 안녕하세요 테스, 현재 담당하고 계신 업무와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드림...
blog.naver.com
세 번째로 드림에이스 임진우 대표님입니다. DGIST에서 교수님으로 일하셨고 공부도 아주 많이 하셨다고 하는데요, 처음부터 사업을 시작한 사람보다는 교수님이 학문에 더 관심이 많으시겠죠? 제 나름의 편견으로는 교수님들은 어느정도는 학자의 마인드를 가지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전 세대에서 물려받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혜택을 다음 세대로 이어가는데 관심이 있으실지도?
5. 후기
이렇게 드림에이스를 알아보았습니다. 미래가 유망하고, 능력있는 사람도 많아 보이고, 보고 배울사람이 있어 너무 좋아보이네요. 스타트업에 들어가려고 고민한다면 이런 곳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 드림에이스가 실제로 어떤 곳일까요? 너무 궁금합니다.
DRIMAES Embedded in your mobility in your life.
채용 드림에이스에서 함께 성장할 인재를 찾습니다. 공고 더보기 히스토리 드림에이스는 2015년 설립후 이렇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연혁 자세히 보기 사무실 드림에이스는 대구와 서울 두 곳에
drimaes.com